분류 전체보기30 [Flutter] Stateful widget 볼드체만 읽으면 됩니당 (4,5 주차) StateUI가 변경되도록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로, StatefulWidget과 StatelessWidget이 있다즉, State란 App의 상태를 바꾸는 모든 행위이다 플러터는 모두 위젯으로 이뤄져 있다.화면에 보여지는 요소를 클래스로 표현하며, 이를 '위젯'이라 부른다 *Stateless Widget : State가 변하지 않는 위젯*Hot Reload : 저장하면 바로 반영되는 것 Widget tree는 하나의 구성일 뿐, 직접적으로 스크린에 그려지는 건 아니다(설계도 역할 : UI에 그려줘~ 하는 느낌)Element tree는 개발자가 만든 Widget tree에 근거해서 생성을 해주는 요소이다 Widget tree에 있는 모든 위젯 하나하나가 일대일 .. 2024. 9. 30. [Flutter] Flutter 동작 방식 이해하기! 0. 타 크로스플랫폼은 어떻게 작동하는가?swift로 iOS를, java로 andriod를 만드는 native 앱 개발을 할 때 개발자는 운영체제와 직접 대화한다.(e.g. 'button, text iput 등의 코드를 쓰는 것은 같은 요소들을 만들어줘!' 라고 운영체제에 말하는 것) 1. Flutter architectural overview Framework : Dart로 짜여진 코드가 Flutter 프레임워크 상에서 이용됨Engine : 앱의 실제 UI를 렌더링, 프레임워크를 동작시키고 UI를 그려주는 역할(-> Flutter 프레임워크가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를 사용하면서 운영체제와 직접 대화x, 엔진이 화면 상에 우리가 말한 것들을 그려줌)(엔진을 하나의 가상머신이라고 생각하면 됨!) 3. 그렇다.. 2024. 8. 23. [Dart] Class와 Constructors(생성자) 개념 이해! 1. Constructors(생성자)란?생성자란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만드는 특별한 함수이다.생성자 함수의 이름은 class의 이름과 같아야 한다!class Student { late String name; //late : 변수들의 값을 나중에 받아올 것을 의미 late int age; Student(String name, int age)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void callStudent() { print("$age 살 $name 학생, 또 핸드폰 하는 거예요?") }} 2. main()에서 사용해보기!void main() { var student1 = Student("susu", 22);.. 2024. 8. 16. 이전 1 2 3 4 다음